[이재명정부 한달] 정상외교 복원
[이재명정부 한달] 정상외교 복원하며 한국에 대한 '신뢰' 회복'긴장 완화' 대북 조치 효과…민간인 국방장관으로 군 개혁 시동이재명 대통령과 부인 김혜경 여사./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서울=뉴스1) 노민호 허고운 유민주 기자 = 이재명 정부는 출범과 함께 비상계엄으로 흐려진 국제사회의 신뢰를 되찾아야 하는 과제를 맞았다. 지난 한 달의 외교적 성과는 신뢰 회복이라는 점에서는 '합격점'을 받았다는 평가다. 보다 고차원적인 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상황은 여전하지만, 일단 한미, 한일, 한중 등 주요국 정상과의 소통을 빠르게 해내면서 국제사회에 '한국이 돌아왔다'라는 인상을 주기 충분한 행보였다는 것이다. 남북관계 역시 지난 정부 때 최고조였던 긴장과 갈등을 완화하고 있다. 민간에 대한 정부의 과도한 개입으로 비칠 수 있는 대북전단 살포 통제 조치를 비교적 원활하게 풀어가고 있으며,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으로 북한의 대남 소음 방송을 중지시킨 것은 우발적 충돌 우려를 실질적으로 관리하는 조치가 됐다고 볼 수 있다. 비상계엄으로 인해 드러난 군의 적폐 및 잘못된 관행을 개혁하는 것은 이제 시작이다. 64년 만에 민간인 출신의 국방부 장관 후보자를 지명하며 '파격적인 첫발'을 뗐지만, 군 내부에서도 역량을 인정받는 인물이 전면에 나서며 '잡음'을 최소화했다는 평가다.이재명(가운데)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뉴스1 ⓒ News1美 압박 있지만 요구도 선명, '진짜 외교' 복원…한일관계는 '굿 스타트'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약 일주일 만에 미국·일본·중국 등 주요국 정상과의 첫 전화 통화를 무난하게 마치며 '실용외교'의 시작을 알렸다. 선거 기간 '친중' 공세를 받았던 이 대통령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압박' 보다는 '케미'를 맞추는 소통을 진행했다. 관세와 안보 청구서에 대한 미국의 압박이 사그라든 것은 아니지만, 양국 정상이 주요 7개국 정상회의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서 첫 만남을 조율하는 등 미국이 한국을 '정상적 대화 상대'로 여기는 외교적 여건은 완전히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비상계엄과 탄핵 국면에서 미국은 우리 측에 현안에[이재명정부 한달] 정상외교 복원하며 한국에 대한 '신뢰' 회복'긴장 완화' 대북 조치 효과…민간인 국방장관으로 군 개혁 시동이재명 대통령과 부인 김혜경 여사./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서울=뉴스1) 노민호 허고운 유민주 기자 = 이재명 정부는 출범과 함께 비상계엄으로 흐려진 국제사회의 신뢰를 되찾아야 하는 과제를 맞았다. 지난 한 달의 외교적 성과는 신뢰 회복이라는 점에서는 '합격점'을 받았다는 평가다. 보다 고차원적인 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상황은 여전하지만, 일단 한미, 한일, 한중 등 주요국 정상과의 소통을 빠르게 해내면서 국제사회에 '한국이 돌아왔다'라는 인상을 주기 충분한 행보였다는 것이다. 남북관계 역시 지난 정부 때 최고조였던 긴장과 갈등을 완화하고 있다. 민간에 대한 정부의 과도한 개입으로 비칠 수 있는 대북전단 살포 통제 조치를 비교적 원활하게 풀어가고 있으며,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으로 북한의 대남 소음 방송을 중지시킨 것은 우발적 충돌 우려를 실질적으로 관리하는 조치가 됐다고 볼 수 있다. 비상계엄으로 인해 드러난 군의 적폐 및 잘못된 관행을 개혁하는 것은 이제 시작이다. 64년 만에 민간인 출신의 국방부 장관 후보자를 지명하며 '파격적인 첫발'을 뗐지만, 군 내부에서도 역량을 인정받는 인물이 전면에 나서며 '잡음'을 최소화했다는 평가다.이재명(가운데)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뉴스1 ⓒ News1美 압박 있지만 요구도 선명, '진짜 외교' 복원…한일관계는 '굿 스타트'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약 일주일 만에 미국·일본·중국 등 주요국 정상과의 첫 전화 통화를 무난하게 마치며 '실용외교'의 시작을 알렸다. 선거 기간 '친중' 공세를 받았던 이 대통령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압박' 보다는 '케미'를 맞추는 소통을 진행했다. 관세와 안보 청구서에 대한 미국의 압박이 사그라든 것은 아니지만, 양국 정상이 주요 7개국 정상회의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서 첫 만남을 조율하는 등 미국이 한국을 '정상적 대화 상대'로 여기는 외교적 여건은 완전히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비상계엄과 탄핵 국면에서 미국은 우리 측에 현안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을 전달하거나 고위급 소통 의지를 피력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압박은 강하나 소통도 가능한'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 한 '진짜 외교'도 정상화됐다는 것이 외교가의 대체적인 평가다.한일관계 관리는 실용외교 기조의 장
[이재명정부 한달] 정상외교 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