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워딩 국제무역 업무용어] 포워더물류 컨테이너 총중량 검증제도 VGM
페이지 정보

본문
㈜제이케이씨앤에어 포워딩 업무 문의 담당 TEL : , H.P : ㈜제이케이씨앤에어● 중국은 한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 한국은 중국의 주요 수입국 중 하나! 한국의 전체 수출입 중 약 20~25%가 중국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미국, 유럽 연합국가보다도 높은 수치입니다. 한국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정밀기계, 석유화학 제품 등 중국 제조업에 필수적인 부품과 소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 중국의 주요 항구는 어디일까? 중국으로의 수출 및 수입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화물을 보내고자 하는 곳에서 가장 가까운 항구가 어디인지를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출, 수입 물류비를 절감하기 위해 화물 출고지 및 도착지에서 가장 가까운 항구를 찾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일례로 중국의 공장이 장쑤성(창저우시, CHANGZHOU)에 위치해 있다고 한다면 포워딩 업무 가장 가까운 항구는 상해항이고, 항저우(HANGZHOU)에 위치해 있다면 닝보항이 될 것입니다. 공장이 북경 인근에 위치해 있다면 가장 가까운 항구는 천진(씽깡, XINGANG)으로 선적하면 됩니다. 창저우는 상해항으로 선적구글지도로 중국공장과 항구를 간편하게 검색 이를 알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구글지도에서 공장 주소를 기재하여 검색한 후 가장 가까운 항구를 검색해 보면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또는 중국 공장 담당자에게 직접 가까운 항구가 어디인지 문의하여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포장된 화물의 디테일(중량, 수량, 사이즈)를 먼저 알아야 한다 중국의 주요항구로는 남중국(중국의 남쪽에 위치) 항구로 홍콩, 심천, 광저우 등이 대표적이고, 북중국(중국의 북쪽에 위치) 항구로는 상해, 닝보, 천진(씽깡), 청도, 대련 등이 있습니다. ● 화물의 디테일을 먼저 파악하자! 포워딩 업무 수출, 수입업무에서 먼저 파악해야 하는 것은 화물의 디테일입니다. 즉 수출 수입을 하려는 화물의 아이템이 무엇인지, 화물의 수량, 중량, 사이즈, 포장된 화물의 최종 사이즈, 부피 등을 알아야 합니다. 이 부분을 확실하게 알고 있어야 물류 수입 수출업무를 대행해 주는 물류 포워딩을 통해 견적 문의를 할 수 있고 그래야 최종 소요되는 물류비용을 미리 파악해 화물 단가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포장된 화물의 디테일(중량, 수량, 사이즈)를 먼저 알아야 한다 ● 화물의 부피를 파악하는 방법 물류비 파악을 위해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하는 것은 화물의 중량과 사이즈 및 화물의 부피입니다. 화물의 중량 및 사이즈는 저울이나 줄자를 통해 각각의 중량 사이즈를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포워딩 업무 화물의 부피는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요? 먼저 부피를 측정하는 단위는 우리가 흔히 세제곱미터(M3)라고 하는 CBM(Cubic Meter) 단위를 사용합니다. CBM은 특히 LCL(소량 혼재 화물) 운송, 항공·해상 운송, 국제 택배 등에서 운임 계산의 기준이 됩니다. CBM을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화물의 부피는 가로, 세로, 높이를 곱한다 CBM =가로(m) × 세로(m) × 높이(m)1미터 × 1미터 × 1미터의 부피 ϑ CBM 즉, 화물의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미터 × 1미터 × 1미터일 경우 화물의 부피는 1CBM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박스가 있다고 가정해 봅니다. 가로: 100cm (1m) 세로: 80cm (0.8m) 높이: 60cm (0.6m)해당 화물의 부피는 1m × 0.8m × 0.6m ϐ.48 포워딩 업무 CBM입니다. ● 화물의 부피가 LCL 화물인지 FCL 화물인지 파악해야 한다 물류에서 LCL은 Less than Container Load의 약자로, 1개의 컨테이너를 혼자 채우기 어려운 소량 화물을 의미합니다. 즉, 화물을 여러 사람(화주)의 물품과 함께 한 컨테이너에 혼재하여 운송하는 방식입니다. LCL 화물이 집하되는 CFS 창고 LCL과 상대적인 개념으로는 FCL(Full Container Load)이 있는데요. 이는 한 화주가 컨테이너 전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 합니다. FCL에는 크게 20FT 컨테이너, 40FT 컨테이너, 40HQ 컨테이너 등으로 나뉩니다. ● FCL로 선적 시 컨테이너 사이즈를 먼저 파악하자 화물의 물량과 부피가 소량 LCL 화물을 넘어서 FCL(Full Container Load) 단계에 해당할 경우에는 FCL 중에서 어떤 컨테이너로 선적할 것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컨테이는 포워딩 업무 사이즈와 타입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0FT 컨테이너에 선적해도 될 화물의 물량을 굳이 더 큰 사이즈의 40FT 컨테이너에 선적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주요 컨테이너별 사이즈 및 선적 가능한 부피는 하기와 같습니다.컨테이너별 사이즈 20FT (가로*세로*높이) 5.8m X 2.3m X 2.3m =약 25CBM 선적 (최대 33CBM 선적)40FT (가로*세로*높이) 12m X 2.3m X 2.3m =약 55CBM 선적 (최대 67CBM 선적)40HQ (가로*세로*높이) 12m X 2.3m X 2.6m =약 55CBM 선적 (최대 76CBM 선적) 위와 같은 기본 화물의 디테일 및 기본 개념을 파악했다면 포워딩을 통한 물류비 비용 견적을 문의하기 위한 기본 정보가 수립된 상태일 것입니다. 중국에서 물품을 수입하고자 할 때, 가장 중요한 포워딩 업무 건 ‘신뢰할 수 있는 물류 파트너’를 찾는 일입니다. 수많은 포워딩 업체 중에서도 ㈜제이케이씨앤에어(JK SEA &AIR)는 오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중국 전 지역의 해상 항공 운송을 완벽하게 지원합니다. 왜 ㈜제이케이씨앤에어인가요? ㈜제이케이씨앤에어 1. 중국 전 지역 커버 가능남중국 (홍콩, 심천, 광저우, 동관 등) 및 북중국 (상해, 닝보, 천진 씽깡, 청도, 대련 등) 중국 전역에서 수출입 운송이 가능합니다. 중국 전 지역에 자체 지사가 설립되어 있어 현지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스케줄 조정 및 문제 대응이 빠릅니다. 2. FCL/LCL 모두 핸들링 가능FCL(Full Container Load)는 물론 LCL(Less than Container Load, 소량 혼재) 화물도 모두 처리 가능합니다. 초기 창업자나 소규모 수입업체도 부담 없이 시작할 포워딩 업무 수 있습니다. 3. 해상 &항공 운송 모두 가능납기일에 맞춘 빠른 대응이 필요할 땐 항공 운송, 비용 효율이 중요할 땐 해상 운송 등 고객 니즈에 맞춰 맞춤형 운송 방안을 제공합니다. 4. 통관, 픽업, 배송까지 원스톱 서비스물류 과정에서 가장 복잡한 통관 업무도 직접 처리합니다. 현지 픽업부터 국내 배송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해 번거로움을 최소화합니다. 상담 및 문의 (주)제이케이씨앤에어TEL : H.P : 신속하고 친절한 상담으로 수입 수출 업무를 도와드립니다. 지금 바로 연락주시고, 중국 수입의 첫 걸음을 편하게 시작하세요!
- 이전글토끼출장샵https://www.callmi5.com/%EB%8B%B9%EC%A7%84%EC%B6%9C%EC%9E%A5%EC%83%B5 25.05.24
- 다음글구글 블로그스팟 블로거 블로그 애드센스 승인 후기 및 가치 있는 인벤토리 : 페이지가 준비 중임 문제 해결 25.05.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